티스토리 뷰
HCI란?
HCI는 Human, Comuter, Interation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함께 담고 있는 단어로, 이 HCI와 UX/UI 설계는 단순한 디자인을 넘어 사용자와 기술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, 카카오, 토스, 당근마켓과 같은 실무 사례를 예시로 들며, UX/UI 디자인 개발 업무와 관련된 기초 지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HCI와 UX 디자인: 사용자를 중심으로
1-1. UX 디자인이란 무엇인가?
사용자 경험(UX, User Experience) 디자인은 사용자가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을 설계하는 작업입니다. 이는 단순히 사용성(Usability)뿐만 아니라 만족감, 효율성, 감성적 측면까지 포함합니다.
UX 디자인의 핵심 요소:
- 유용성: 제품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?
- 사용성: 제품이 얼마나 쉽게 사용될 수 있는가?
- 감성: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전달하는가?
1-2. UX 디자인의 성공 사례
- 네이버: 검색 결과 페이지의 심플한 레이아웃은 정보 접근성을 높임.
- 토스: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복잡한 금융 업무를 간편하게 처리 가능.
1-3. UX 설계의 기본 원칙
- 사용자 중심 접근법을 유지.
- 반복적인 테스트와 피드백 수집.
- 사용자의 맥락(Context)을 고려한 설계.
2. 접근성과 인터페이스 설계: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
2-1. 접근성이란?
접근성(Accessibility)이란 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는 시각, 청각,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들도 포괄합니다.
접근성을 높이는 방법:
- 화면 읽기 지원(Screen Reader)을 위한 구조화된 HTML.
- 색맹 사용자를 위한 고대비 테마 제공.
- 키보드만으로도 작동 가능한 내비게이션 설계.
2-2. 인터페이스 설계의 중요성
좋은 인터페이스(UI, User Interface)는 UX의 기반이 됩니다.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직관적으로 설계하여 사용자가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UI 설계의 원칙:
- 일관성: 동일한 동작이 동일한 결과를 유도.
- 가시성: 중요한 정보는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해야 함.
- 피드백 제공: 사용자가 행동에 대한 결과를 바로 알 수 있어야 함.
2-3. 실무 예시
- 카카오톡: 메시지 발송 후의 "읽음 표시"는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.
- 당근마켓: 위치 기반 인터페이스로 지역 거래를 간편하게.
3. UX/UI 개발자가 하는 실제 업무: 실무를 들여다보다
3-1. 실무 환경에서의 UX/UI 개발자
UX/UI 개발자는 단순히 화면을 디자인하는 것을 넘어, 사용자의 행동을 연구하고, 문제를 정의하며, 해결책을 설계합니다.
카카오:
- 사용자의 채팅 데이터를 분석하여 더 효율적인 메시징 인터페이스 개발.
- 새로운 기능을 A/B 테스트로 검증.
네이버:
- 검색 결과의 클릭률 데이터를 분석하여 UX를 개선.
- 모바일과 데스크톱 간의 UI 최적화.
토스:
- 금융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쉽게 전달하는 차트 설계.
-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경험을 단순화.
당근마켓:
- 지역 기반으로 개인화된 콘텐츠 제공.
- 직관적인 상품 등록 과정 설계.
3-2. 업무 과정
- 사용자 리서치: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문제를 발견.
- 프로토타입 제작: 초기 설계를 시각화.
- 테스트 및 개선: 사용자 피드백 반영.
4. UX 개발 가이드와 간단 실습
4-1. UX 설계 가이드
UX 설계는 단계별로 진행됩니다:
- 문제 정의: 사용자가 겪고 있는 문제를 파악합니다.
- 사용자 여정 지도 작성: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을 시각화합니다.
- 프로토타입 개발: 와이어프레임 또는 시뮬레이션을 만듭니다.
- 사용자 테스트: 실제 사용자를 통해 설계를 검증합니다.
4-2. 간단 실습: 로그인 페이지 설계
0. HTML로 로그인 폼 작성: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로그인 페이지</title>
<style>
body {
font-family: Arial, sans-serif;
display: flex;
justify-content: center;
align-items: center;
height: 100vh;
margin: 0;
background-color: #f4f4f9;
}
.login-container {
padding: 20px;
background: #ffffff;
box-shadow: 0 4px 6px rgba(0, 0, 0, 0.1);
border-radius: 8px;
}
.login-container h1 {
margin-bottom: 20px;
font-size: 24px;
text-align: center;
}
.login-container label {
display: block;
margin-bottom: 8px;
font-weight: bold;
}
.login-container input {
width: 100%;
padding: 10px;
margin-bottom: 15px;
border: 1px solid #ddd;
border-radius: 4px;
}
.login-container button {
width: 100%;
padding: 10px;
background: #007BFF;
color: #ffffff;
border: none;
border-radius: 4px;
font-size: 16px;
}
.login-container button:hover {
background: #0056b3;
}
</style>
</head>
<body>
<div class="login-container">
<h1>로그인</h1>
<form action="/login" method="POST">
<label for="username">사용자 이름</label>
<input type="text" id="username" name="username" required>
<label for="password">비밀번호</label>
<input type="password" id="password" name="password" required>
<button type="submit">로그인</button>
</form>
</div>
</body>
</html>
- 사용자 피드백 반영:
- 로그인 오류 시 에러 메시지를 명확히 표시.
- 비밀번호 입력란에 "비밀번호 보기" 옵션 추가.
- 접근성 강화:
- 입력 필드에 aria-label 속성 추가.
- 충분한 색상 대비를 유지하여 시각 장애 사용자를 배려.
4-3. 개선하기
-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버튼 크기와 폰트를 조정.
- 모바일 최적화를 위해 반응형 웹 설계 적용.
- 로딩 상태 표시(스피너 등) 추가.